목록전체 글 (144)
뉴히의 개발 로그

supabase auth로 회원가입이 구현된 상태였고 이상없이 가입이잘되었는데 새로테이블을 생성하니insert가 안되었다!! supabase authentication > policies 들어간후접근 권한을 설정해 줘야한다없을땐 new policy로 추가를 해주고 있을경우엔 땡땡땡을 눌러서 deit권한조건들이 있어서 관리자만,전체 유저 등등 선택 할 수있다. new policy -> get started quickly-> enable read access to everyone -> 나는 템플릿을 사용(use this template) ->이름은 각각 겹치치 않게 정해줘야하고 enable ~~~ 이렇게 쓰는게 국룰이라 한다다 설정해주고USING expression 을 true로 설정해주면 ! 접근 가능..

분명 코드도 맞은거같고 데이터 값이 불려는 오는데 계속 초기값만 불려오는.. useEffect(() => { getUser(); dispatch(setUser(user)); }, []); useEffect(() => { getUser(); // 데이터 로드 완료 시 dispatch를 사용하여 Redux 상태 업데이트 if (user) { dispatch(setUser(user)); // setUser 액션을 통해 데이터를 Redux 상태에 업데이트 } }, [user, dispatch]); 그것은 바로 실행시점? 때문 위 코드에서 중요한 부분은 useEffect 내에서 데이터 로드가 완료되었을 때 dispatch(setUser(userData))를 호출하는 부분. 이렇게 하면 데이터 로드와 Redux 상..
useEffect는 컴포넌트가mount, update, unmount 될때 실행된다. useEffect에 전달하는 콜백함수도 return을 가질 수 있는데 이return에 함수를 전달 할 수 있고 이를 클린업 함수라고 한다. 클린업 함수는 컴포넌트가 unmount될때 실행된다. 클린업 함수가 실행된 후 update되면서 mount를 실행한다. 즉, 컴포넌트는 리렌더링 될 때, 재평가 → 언마운트 → 업데이트 순으로 진행된다. 의존성 배열을 비워둘 경우 unmount는 실행되지 않는다. 매우 정리가 잘된글이 있어 링크남긴다 https://choyeon-dev.tistory.com/entry/React-useEffect-%EC%8B%A4%ED%96%89-%EC%8B%9C%EC%A0%90-%EC%A7%9A%E..
'string | null' 형식은 'string | undefined' 형식에 할당할 수 없습니다. 'null' 형식은 'string | undefined' 형식에 할당할 수 없습니다.ts(2322)index.d.ts(2276, 9): 필요한 형식은 여기에서 'DetailedHTMLProps' 형식에 선언된 'src' 속성에서 가져옵니다. (property) React.ImgHTMLAttributes.src?: string | undefined 문제 보기 (+F8)빠른 수정을 사용할 수 없음 import한 이미지가 아닌 이미지 주소를 넣으려니 타입 오류가 발생했다. 유형 할당(type assignment) 에러이다. 이미지 속성의 타입 정보들을 보니 interface ImgHTMLAttributes e..
드디어 ! 벌써 ! 어느새 !! 최종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이번 프로젝트는 디자이너님도 함께 하시고 원래는 1주 정도 진행하던 프로젝트와는 다르게 5주간 진행되는 프로젝트이다. 다른 팀들도 기획회의부터 다른때와는 다르게 아주 오랜시간 공들여 진행하는 듯 하다. 생각보다 기획이 상당히 어렵찌만 ~ 팀원들과 디자이너님과 소통을 잘하고 계획을 꼼꼼히 하고 그대로 잘 진행한다면 좋은 결과가 있겠찌!!! 프로젝트 외에도 CS, 기술면접 대비 등등 할게 많다! 화이팅 !!
수파베이스를 사용 시수퍼베이트 테이블 타입 파일에서 필요한 데이터의 타입을 가져오는데각각 필요한 테이블 마다 타입을 선언해줘야하는 번거로움 !!export type UserType = Database['public']['Tables']['test']['Row']; TypeScript의 제네릭과 맵드 타입(Mapped Types)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타입을 더 간결하고 유연하게 정의하는 방법export type Tables = Database['public']['Tables'][T]['Row'];T extends keyof Database['public']['Tables'] : T는 테이블 이름, 이는 Database['public']['Tables'] 객체의 키 중 하나여야 한다Databa..
프로세서 레지스터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빠른 속도로 접근 할 수 있는 저장공간 범용 레지스터 :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나 연산 결과를 임시로 저장 특수목적 레지스터 : 특별한 용도로 사용하는 레지스터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MAR) : 읽고 쓰기 위한 주기억장치의 주소를 저장한다. 프로그램 카운터 (PC) : 다음에 수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 명령어 레지스터 (IR) :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를 저장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MBR) : 주기억장치에서 읽어온 데이터나 저장할 테이터를 임시로 저장 누산기 (AC, ACCUMULATOR) : 연산 결과를 임시로 저장 제어장치 (CU) 명령어를 실행하는 순서를 제어하고 스케줄링 제어부 주기억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를 순서대로 호출하여 해독하고,..

컴퓨터의 구성 입력 장치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마이크, 스캐너, 카메라 등.. 사용자는 입력 장치들을 통해 컴퓨터에게 명령을 요청하거나 데이터를 입력 출력 장치 모니터, 스피커, 프린터 등… 컴퓨터는 출력 장치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명령이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보여주거나 명령에 대한 처리결과를 보여주거나 들려줌 CPU 산술논리 연산장치(ALU) : 비교, 판단, 연산을 담당 제어부(CU)와 내부 버스 : 명령어의 해석과 올바른 실행을 위하여 CPU를 내부적으로 제어 메모리 유닛 레지스터 : 처리할 명령어를 저장 (칼🔪 같은 지금 요리(연산)할 도구를 드는 손) 캐시 메모리(L1) : 처리속도를 높여주는 역할 (왼손은 거들뿐!🏀)